'STORY'에 해당되는 글 398건

###문자열

" \' "   '를 보이게 출력함
" \" "   "를 보이게 출력함
" \\ "   \를 보이게 출력함
" \n "   다음줄을 출력함
" \t "   들여쓰기를 출력함
" %% "   %를 보이게 출력함
" %s "   문자열로 변환함
" %c "   문자를 유니코드로 변환함
" %d "   10진 정수로 변환
" %o "   8진 정수로 변환
" %x "   16진 정수로 변환
" %f "   부동소수점으로 변환
" %s %s %s" % (문자, 문자, 문자)   옆 문자를 차래대로 대입함
" %10s" % (문자) 10 공간의 갯수 우로정렬
" %-10s" % (문자) 10 공간의 갯수 좌로정렬
" %*10s" % (문자) * 빈공간에 채울 문자 공간에 *로 채움
" %0.2f " % (실수) 0.2 소수점 공간 갯수 소수점의 공간 갯수를 나타냄
" {0} {1} ". Format(값, 값)

{0} 첫번째 값  

{1} 두번째 값

Format 에 배열순서에 맞는 값을 출력함

" {0:c} {1} ". Format(값, 값) {0:c} 첫번째 값 변환 타입 Format 에 배열순서에 맞는 값을 char 형식으로 변환한다
" {0:<10} {1} ". Format(값, 값) <10 좌측 10칸 Format 에 배열순서에 맞는 값을 칸에 맞게 변환 (좌측)
" {0:>10} {1} ". Format(값, 값) >10 우측 10칸 Format 에 배열순서에 맞는 값을 칸에 맞게 변환 (우측)
" {0:^10} {1} ". Format(값, 값) ^10 중앙 10칸 Format 에 배열순서에 맞는 값을 칸에 맞게 변환 (중앙)
" {0:*^10} {1} ". Format(값, 값) * 빈칸을 변환 Format 에 배열순서에 맞는 값을 칸에 맞게 변환 (중앙) 후 빈칸을 *로 채움
#... ... 주석처리하고 싶은 문자 주석처리하여 실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s[-len(변수명) ~ +len(변수명) : ] 문자 변수의 X번째문자부터 시작할 문자위치를 정한다
s[ : -len(변수명) ~ +len(변수명) ] 문자 변수의 몇개까지 삭제할 갯수의 문자 위치를 정한다

 

# 기본 제공코드는 임의 수정해도 관계 없습니다. 단, 입출력 포맷 주의
# 아래 표준 입출력 예제 필요시 참고하세요.

# 표준 입력 예제
'''
a = int(input())                        정수형 변수 1개 입력 받는 예제
b, c = map(int, input().split())        정수형 변수 2개 입력 받는 예제 
d = float(input())                      실수형 변수 1개 입력 받는 예제
e, f, g = map(float, input().split())   실수형 변수 3개 입력 받는 예제
h = input()                             문자열 변수 1개 입력 받는 예제
'''

# 표준 출력 예제
'''
a, b = 6, 3
c, d, e = 1.0, 2.5, 3.4
f = "ABC"
print(a)                                정수형 변수 1개 출력하는 예제
print(b, end = " ")                     줄바꿈 하지 않고 정수형 변수와 공백을 출력하는 예제
print(c, d, e)                          실수형 변수 3개 출력하는 예제
print(f)                                문자열 1개 출력하는 예제
'''
#!/usr/bin/python
# -*- coding: cp949 -*-


print ord("Z")       # 출력 결과: 90
print hex(ord("Z"))  # 출력 결과: 0x5a


print chr(90)        # 출력 결과: Z
print chr(0x5A)      # 출력 결과: Z

### 숫자 배열 마즈막 문자 제거

i = 1
s = ""
for i in range(1, 200 + 1,1):
    if i % 7 ==0 and i % 5 != 0:
    	s += "%d,"%i
print(s[:-1])


#7,14,21,28,42,49,56,63,77,84,91,98,112,119,126,133,147,154,161,168,182,189,196


i = 1
s = ""
for i in range(1, 200 + 1,1):
    if i % 7 ==0 and i % 5 != 0:
    	s += "%d,"%i
print(s[-4:-1])
#196

 

'+++++SW 일일 공부+++++ > SW Expert Aade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인덱스(index) 튜플  (0) 2020.01.04
Python 비교연산자  (0) 2020.01.04
Python 숫자 문자 형 출력 형식  (0) 2020.01.04
BIG-O 함수에 대하여  (0) 2020.01.02
MathWay 공학 계산기 쳇봇  (0) 2020.01.01
블로그 이미지

Or71nH

,

###접두어 & 함수

type() (분석할 문자) 문자의 특성을 알려줌
0b... ... 숫자 0과1로 나타넨 숫자형식
0o... ... 숫자 0~7로 나타넨 숫자형식
0x... ... 숫자 0~F로 나타넨 숫자형식
...j ... 숫자 허수형으로 나타넨 숫자형식
     
     

### 리터럴의 종류

>>> 15 #정수형 리터럴
#15
>>> 3.14 #부등소수점 숫자형 리터럴
#3.14
>>> 'Python' #문자열 리터럴
#'파이썬'
>>> True #불(bool)형 리터럴
#True
>>> [1, 2, 3] #리스트(list)형 리터럴
#[1, 2, 3]

정수 : 숫자

부등소수점 : 소수

문자 : 문자

불 : 0과1 비트(bit)

리스트 : 배열 Arry[]

 

### type() 함수

>>> type(15) #정수형 리터럴
#<class 'int'>
>>> type(3.14) #부등소수점 숫자형 리터럴
#<class 'float'>
>>> type('Python') #문자열 리터럴
#<class 'str'>
>>> type(True) #불(bool)형 리터럴
#<class 'bool'>
>>> type([1, 2, 3]) #리스트(list)형 리터럴
#<class 'list'>

### 접두어

>>> 0o177 # o(영어알파벳) 8진수 표기
#127
>>> 0xa10f # x(영어알파벳) 16진수 표기
#41,231
>>>0b1010000100001111 # b(영어알파벳) 2진수 표기
#41,231

###허수형

>>> 3.14j # j(영어알파벳) 허수 표시
3.14j

'+++++SW 일일 공부+++++ > SW Expert Aade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비교연산자  (0) 2020.01.04
Python 문자열에 관하여  (0) 2020.01.04
BIG-O 함수에 대하여  (0) 2020.01.02
MathWay 공학 계산기 쳇봇  (0) 2020.01.01
로그 지수의 관하여  (0) 2020.01.01
블로그 이미지

Or71nH

,


1)  노외주차장

(1) 원칙

- 녹지 지역이 아닌 지역에 설치

(2) 예외

- 하천구역 및 공유수면으로서 주차장이 설치되어도 해당 하천 및 공유수면의 관리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지역

- 토지의 형질변경 없이 주차장 설치가 가능한 지역

- 주차장 설치를 목적으로 토지의 형질변경 허가를 받은 지역

- 특별시장·광역시장,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이 특히 주차장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지역

(3) 출입구 설치 금지 장소

-「도로교통법」 제32조제1호부터 제4호까지, 제5호(건널목의 가장자리만 해당)
및 같은 법 제33조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규정에 해당하는 도로의 부분

- 횡단보도(육교 및 지하횡단보도를 포함)로부터 5m 이내에 있는 도로의 부분

- 너비 4m 미만의 도로(주차 대수 200대 이상인 경우에는 너비 10m 미만의 도로)와 종단 기울기가 10%를 초과하는 도로

- 유아원, 유치원, 초등학교, 특수학교, 노인복지시설, 장애인복지시설 및
아동전용시설 등의 출입구로부터 20m 이내에 있는 도로의 부분


(4) 주차 대수가 400대를 초과하는 경우

- 원칙 : 출구와 입구를 따로 설치
- 예외 : 출입구만 설치(출입구의 너비의 합이 5.5m 이상이어서 출구와
입구가 차선으로 분리되는 경우)

(5) 특별시장·광역시장,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이 설치하는 노외주차장

- 주차 대수 규모가 50대 이상일 경우에는 2%부터 4%까지의 범위에서 장애인 전용주차구획을 설치

 

 

## 부설 주차장의 설치 대상 종류 설치 기준



1)  진출입구 계획

•    진출입구 계획 시 고려사항

- 주요 간선도로변에는 출입구를 설치하지 않도록 함

- 전용도로가 2개 이상인 경우 교통 영향 적은 도로에 설치

- 도로의 교차점 또는 모퉁이에서 이격거리를 필요로 함(20m 이상 떨어지는
것이 이상적이나 최소한 10m 이상 떨어진 곳에 위치하게 함)

- 공원, 초등학교, 유치원의 출입구로부터 20m 이상 떨어진 곳에 함

- 버스 승강장, 택시 승강장 등에서 적정 이격거리 확보

- 우회전으로 차가 입출고되는 것을 원칙으로 주차장 출입구 위치 설정

- 출입구는 가능한 분산시키지 않으나, 분리될 경우 그 위치 선정에 유의하여, 주차장 진입 대기 차량으로 인해 주차장에서 나오는 차가 밀리거나, 진입 및 출고 경로가 겹치는 것을 
피하도록 함

- 주차대기 차량이 도로에 늘어서 다른 교통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는 위치
(ex. 교차로 통과직후)는 피함

 

2)  동선 계획

•    동선 계획 시 고려사항

- 진입도로와 차량의 진출입구 차로는 직각 교차로 함

- 진입 후 충분한 진입 길이 및 차량 회전 고려

- 주차장 내 도로는 원칙적으로 일방통행 방식으로 계획

- 차량 동선에서 진행방향은 장애인 주차, 승하차장의 위치 등을 고려해야 함

- 장애인 주차는 주출입구 부분에 설치하여 장애인이 차로를 건너지 않도록 함

- 서비스차량, 응급실의 구급차량의 동선은 가능한 일반 주차장의 동선과 분리하여 계획

- 호텔, 병원 등과 같은 용도의 건축물은 건축물 전면에 정차공간
(Drop-off area) 마련

- 경사로 설치 시 직선부분은 17%이하, 곡선부분은 14%  이하, 굴곡부
회전반경 5.5m 이상이 되게 함

 


4)  승하차장 계획

•    승하차장은 차량에서 보행동선으로 연결되는 공간이므로 건물의 출입구 혹은 보행로와 인접하여 계획
•    차량진행방향의 우측에 승하차장을 계획하도록 함
•    승하차장의 크기는 12m × 3m로 함




5)  기계식 주차장 계획

(1) 기계식 주차장의 종류

- 차량을 이동시키는 방식 등에 따라 나눌 수 있음
(수직 순환, 수평 순환, 평면 왕복, 엘레베이터식 등)

(2) 기계식 주차장의 출입구 및 주차구획

- 기계식 주차장의 출입구와 주차구획에 대하여 법률적으로 규제하고 있음


'[설계] > └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문/사회환경요소 분석  (0) 2020.01.03
자연환경요소 분석  (0) 2020.01.03
주차장법  (0) 2020.01.01
건축법  (0) 2020.01.01
토지이용계획 열람  (0) 2020.01.01
블로그 이미지

Or71nH

,

##도로 및 교통

대지 내 진출입 및 동선을 결정하는 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도로와의 관계 : 대지주변도로는 대지 내 건축 가능영역 파악 및 진출입구 계획등에 영향을 미침

 

교통 및 동선 : 교통수단별 동선, 교통량등을 파악하여 주/부 진입구 위치 및 보행/차량 동선 등을 파악

 

##주변현황

도시에 위치한 대지는 주변의 환경과의 조화가 중요하며 대지 주변 현황은 건축 가능영역산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

 

지역지구에 의한 규정 : 지역지구에 따라 건축물의 용도 및 건폐율/용적률 기준이 적용됨

 

주변환경 : 주변에 위치한 시설들에 따라 제한 및 완화 조건들이 적용됨

 

경관 : 주변 형태의 지형, 수목립 혹은 초지 등의 구성, 산이나 강, 공원 등 대지 내외의 경관에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

 

 

## 단순 이역거리 분석

인접대지 격계선 및 도로경계선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이격하여, 건축가능영역을 설정

 

## 입체적 이격거리 분석

일조권 제한 및 채광 거리를 이격

 

일반주거, 전용주거지역에 적용

 

건축물의 각 부분의 정북방향으로의 인접 대지경계선으로 부터 다음과 같이 이격할 것:9m 이하는 1.5m ,9m 이상은 높이의 1/2 경사이상 이격

 

##법률적 규제요소 분석

 

 

일반주거 전용주거

근린상업 준주거

##입체적 이격거리 분석 

 

 

인동간격

인접한 두 덩의 건물 중, 높은 동 높이의 1/2 경사 적용

단, 남측 건물이 낯ㅈ으면 높은 쪽에서는 0.4배(도시형생활주택은 0.2배), 늦은 쪽에서는 0.5배(도시형생활주택은 0.25배)

 

채광창없는 경우, 벽면 - 측벽 만날 때는 8m 이상, 측벽-측벽 만날때는 4m 이상

'[설계] > └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자장 법규  (0) 2020.01.03
자연환경요소 분석  (0) 2020.01.03
주차장법  (0) 2020.01.01
건축법  (0) 2020.01.01
토지이용계획 열람  (0) 2020.01.01
블로그 이미지

Or71nH

,

##대지현황

대지의 지형 등에 대해 파악하는 요소

 

지표 형상 : 대지의 등고선을 통해 지형 상태를 분석하여 건축 가능 영역을 파악

지질 : 불량 토잘울 건축 가능 영역에서 제외하거나 구조적으로 보강

 

 

##일조 및 일사

건물의 배치, 인동 간격의 결정등 건출물계획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

 

방위 : 일조 및 풍향 등에 중요한 요소

 

일조권 : 법규로 태양의 일조를 일정량 이상 확보할 수 있는 기준이 정해져 있으나 법에 정한 기준 이상의 확보가 필요

 

인동간격 : 건축가능영역 내에 2개 동 이상의 건출물이 있을 경우, 동간일조기준을 적용한 인동 거리의 확보가 필요

 

## 바람

 

난방과 냉방 등 부하에 큰 영향읋 미치는 요소

 

겨울철 : 북서풀이 강하게 부는 것을 피하기 위한 계획 필요

 

여름철 : 바람이 잘 통하게 하여 냉방 부하를 줄이는 계획 필요

 

봄, 가을철 : 미풍이 건물을 통하여 불도록 하는 계획 필요

 

## 식생환경

 

 

 

에너지 환경, 미적가치, 시각 차단 등에 영향을 주는 식물, 초목과 같은 주변 환경을 분석하는 요소

 

지피식물 : 대지내의 일사 반사율를 낮추며 온습도를 조절 및 반사를 차단

 

낙엽활엽수 : 여름철에는 일사 차단, 겨울철에는 일사를 유입시키는 역할

 

상록수 : 시각적차단 및 겨울철 방풍 효과

 

관목 : 대지내 길과 통로를 안내하는 역할

 

 

 

'[설계] > └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자장 법규  (0) 2020.01.03
인문/사회환경요소 분석  (0) 2020.01.03
주차장법  (0) 2020.01.01
건축법  (0) 2020.01.01
토지이용계획 열람  (0) 2020.01.01
블로그 이미지

Or71n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