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제일 햇갈리는 이것부터 해보자

PLC부터 설정하자

이거 이르 들 잘 맞쳐야함 

기기랑 CPU 정보 맞추는 거임

왼쪽 밑에 잘보자 Connection Destinaltion

이거 눌러서 인터넷 설정해야함

저거 더블클릭

일단눌러지는거 노란색으로 표시되있다

 

맨위에부터

 

Ethernet Board 는 

난 TCP 통신으로 할꺼다

 

 

 

PLC Module 

여기서 자동 찾기도 있으니 

Ficd CPU 누르면 내가 접속 되있는 인터넷에 PLC 를 찾아준다

 

이건뭐 딜레이 시간 넘 빠르면 애 힘들어함

그럼 잘됫고

 

 

여러가지 만들어준다 

보면 메모리 사용을 어디했나 함 보면 좋다

 

난 주석을 걸어놔서 뭐썻는지 보임 

 

저거 더블 클릭해주자

PLC Parmeter

위에꺼 맨 끝에 

Built-in Ethernet Port Setting 

클릭

이거보니깐 여러가지 있다 음

저거 IP Addres 는 PLC IP 써주고 밑에는 비워두자 

그럼 알아서 잡음

Open Setting을 누르면 

아직 이렇게되있는데 요롯게 바꿔준다

 

그리고 이제 PLC 에 잘 써준다

 

CHECK 해주고

잘됫다고 한다

 

End 끝

 

 

쪼기 위에 쓰기 해서

써주고

 

우리세상에 존제하는 PLC 

PLC 기계 온 오프!!!

껏다가 켜준다

 

 

 

이젠 SCADA 만 해주면 된다

 

이건 만들어져있어서 그런데 새걸로 해보자

여기서

통신만 연결하고 그다음에 동작은 알아서 만들어라 

땡강부리는 애는 키우지 않는다 

스파르타식이 좋음

여기서 같은거 찾아줘야한다

이름은 편한거 하는데 난 기계 이름 줫음

 

통신블록 쓴 워드 에 맞게 넣어줌

넣어주면 끝

잘만들어짐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저따구로 태크 만들어주면 연동되있음

 

블로그 이미지

Or71nH

,

 

일단만드.gxw
0.88MB

이건 참고 하면 좋을듯 하다

 

일단 난 GX Work2 를 사용하기 때문에 언어가 미쯔비시 이다

 

미쯔비시

FMOV                 K0               K2M60

명령어 선언         값을 정한다   위치로부터 M60 에서 부터  M68 까지 K2(K는 니플[4개]이니깐 8개 를 0으로 바꿔주면된다)  

 

 

싸이몬(CIMON)

FMOV                  0                   M60         2

명령어 선언          값을 정한다     시작위치     M은워드[16개]이니깐 32개에 값을 넣는다

 

 

 

RST(Reset) : 값을 없에줌

RST                   M06

명령어 선어         위치

 

 

 

이것들은 회사마다 정해 놓은 데이터가있다

F1 을 눌러서 영어 공부 해야한다

 

정말 잘써져있는데 영어라 어렵다

 

이런식으로 회사마다 다르니깐 참고하길 바란다

 

 

 

이렇게 만들것이다

일단 시트는 이렇게 써준다

 

이렇게 만드려면 저거 다운받아서 보면서 만들면 된다

 

저거 모양은

위에있으니 차고 하면서 만들고

 

선은 Ctrl + 방양키 로 선 쭉쭉 만들어준다

 

 

그리고 밑에 빈줄 만드는법은 Shift + insert(단축키 위에있는거 home옆에) 눌러주면

 

Shift + insert

줄이 추가되서 적기가 편할것이다 많은 단축키가 있으니 참고하면서 만들면 된다

 

 

저기 초록색은 위에 초록 팬같은게 있다

저기 초색 첫번째 팬 누르고 이제 엔터나 더블클릭 하면 설명을 쓸수있다(주석)

 

이제 시물레이션을 해보자

저기 맨끝에 자물쇠 달린 컴퓨터가 보인다

저거 클릭하면 시물려이션 모드가 된다

 

시뮬레이션 모드이다

저길 들어가 보자

 

이건 관리자로 메모리 값을 입력할수 있는것이다

이걸로 가상으로 실행해볼수있다

블로그 이미지

Or71nH

,

MK명령어집.pdf
2.15MB

http://cafe.daum.net/_c21_/bbs_nsread?grpid=119li&fldid=IKM6&contentval=0000Rzzzzzzzzzzzzzzzzzzzzzzzzz&datanum=27&searchlist_uri=%2F_c21_%2Fcafesearch&search_ctx=VnKaQtKZsJZB2Q6rEnyTQNJLYJ1BLByrXH6apwnmUgOL5YegifEsd1cqZ7i531igKc-kApcjJWytD8Nigcbi8wPDTkM.H.1ynhRwvnFl6uygYzXMwt_KtieKCGyGplDvlRIkfZJTqgfwfwt7aAKQBFoIV1J.FhSnctXxz8h5IgG7ghPxlM9TyX1hpvsurvPWpxrN3wfQyIyVP2yPwnUz5KSYe_DH1oKNiaDq86663Z1LSXWtI8nHx4y-Ak6p-LT5bvdbEAvVqy.RJXv_fvd94FcT6ObVy5vwQOOJun5l-3JStaiCGTz_G3Y4h8.r6gTq

 

CIMON HMI - Daum 카페

     제어관련서적(Book) 게시판 권한 안내 회원님은 아직 로그인을 하지 않으셨어요. 먼저 로그인을 하시고 이용해주세요. Daum 또는 카카오 계정이 없다면, 카카오 계정을 생성한 후 카페에 가입해보세요. 참고로 이 게시판은 준회원 이상 읽기가 가능합니다. 이 카페 회원 등급 보기▶     카페에 가입되지 않은 회원입니다. 매주 월요일 기준으로 전주 월요일에서 일요일까지의 인기글이 보여집니다.

cafe.daum.net

 

사이몬 모임

명령어집

'PDF 공부하는것들 > Soft 부드러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두버스의 대한 PDF  (0) 2020.04.08
아두이노 와이파이 보낸거 받기 임시 저장  (0) 2020.01.14
X-SCADA 메뉴얼  (0) 2019.12.26
주말 숙제  (0) 2019.12.10
블로그 이미지

Or71nH

,

한국물가정보

http://www.kpi.or.kr/www/

 

한국물가정보 :: 물가정보, 적산정보, 노임단가, 일위대가, 표준품셈, 품셈, 실적공사비, 물가, 적산, 노임, 가격, 원가계산

:::패밀리사이트::: KPI 출판그룹

www.kpi.or.kr

 

보면 화면에 갯수에 따라 견적이 측정된다

 

즉 일부러 화면 갯수를 많이 만들어서 일부러 많이 만들어서 견적넣는 업체가 생길 수 있다

 

협상을 할때 기능을 보고 줄일수 있는것은 페이지수를 최대한 줄여서 받으면 보다 합리적인 가격에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다

 

블로그 이미지

Or71nH

,

Visual Studio 2015의 자랑이 시작되엇다

 

좋다 좋다 계속 듣는중

우린 무료가 좋으니 커뮤니티 쓰면된당

 

무료~!!

 

제일 좋은거 나왓다

디버깅 시스템 와

 

이게 혁명이다 

F9 : Breakpoint 설정 및 해제
F5 : Debug Mode로 시작하고, Debug Mode에서 다음 Breakpoint까지 이동함
F10 : Debug Mode에서 다음 줄로 이동하나, 함수 앆으로는 진입하지 않음(Step Over)
F11 : Debug Mode에서 다음 줄로 이동 및 함수 앆으로 이동함 (Step Into)
Shift + F11 : Debug Mode에서 현재 함수가 종료될까지 이동함 (Step Out)
Shift + F5 : 강제로 Debug Mode 종료

단축키는 이렇게 되고

 

 

 

Breakpoint  (일시정지 하는것)

컴퓨터가 너무 빨라서 어쩔수 없다 순간적으로 끝나버려서 멈처서게 해야한다

그렇기 때문에 있는것이다 

 F9 단축키고

 [Total]마우스 오른쪽 클릭 – [Breakpoint] – [Insert Breakpoint] 이렇게 쓸수도 있다

 

 

Watch (계속 변하는거 보는것)

이거 있으면 메모리 가 무슨값으로 변하는지 순간순간 볼 수 있다

 

Tracepoint(역추적이라해야하나?)

함수가 어느값을 쓰는지 역으로 다 찾아주는 것 같다

안써봐서 잘 모름

 

Class Wizard(안써봣음 효율적으로 만드려고 만든거래)

MFC(마이크로소프트 파운데이션 클레스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개발을 할때, Class의 현재 상태 확인, 메시지 처리기. 함수 및 변수 생성 등을 한 화면에서 일관되게 처리하는 기능

[Visual Studio Menu] – [Project] – [Class Wizard]
단축키 : Ctrl + shift + X

이거 옛날거라 그건가

 

새함수 만드는 것 같은데 

간단하게 나중에 알수 있을것이다

이거 알필요 없으

 

Diagnostic Tools(진단 툴)

이거 메모리랑 

cpu 어디서 얼마나 잡아먹는지 알수있다

 

CppCheck(좀 안정화 작업이라고 해야하나)

이렇게하면 오류를 적게 만들고

좀더 효율적으로 돌릴수 있게 만들어준다

 

 

 

블로그 이미지

Or71nH

,